2023년 5월 17일부터 20일까지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한경대학교에서 열린 대한인간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가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우리 연구실에서 총 3건의 발표와 1건의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전계원 석박 통합 과정과 홍정욱 박사 과정의 ‘사용자의 명시적 피드백 적용을 통한 소셜 추천시스템 내 개인화 증진’, 김휘성, 조정민 석사 과정의 ‘자율주행 해제 상황에서 사후 XAI 설명 기록 제공을 위한 정보 디자인 및 인터페이스 제안 연구’, 최인헌 석사 과정의 ‘데이터 편향성이 인공지능 모델에 미치는 영향: 데이터 감정 구성 비율에 따른 학습 결과 비교’ 연구를 구두로 발표하였고, 전계원 석박 통합 과정이 ‘메타버스 산후 우울 케어 서비스 제안: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연구를 포스터로 발표하였습니다.
그 동안 열심히 연구해온 학생들의 발표를 들으며 각자의 생각을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다음은 각 연구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1. 홍정욱, 전계원, 이상원, 사용자의 명시적 피드백 적용을 통한 소셜 추천시스템 내 개인화 증진


홍정욱, 전계원 학생의 연구는 소셜 추천 시스템 내 사용자가 선택한 소셜 그룹으로부터 생성된 추천에 대하여 유저 컨트롤을 반영함으로써 소셜 추천 시스템의 개인화를 향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습니다. 개별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한 소셜 추천시스템은 사회적 관계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들의 히스토리를 통합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추천을 생성하는 소셜 추천의 장점을 유지하며, 사람과 시스템 간의 인터랙션을 소셜 추천에 적용합으로써 개인화 향상에 기여하였습니다.
2. 조정민, 김휘성, 이상원, 자율주행 해제 상황에서 사후 XAI 설명 기록 제공을 위한 정보 디자인 및 인터페이스 제안 연구

조정민, 김휘성 학생의 연구는 자율주행 시스템에 대한 이해 향상을 위해 자율주행 해제 상황의 회고적 사후 기록(post archival)을 위한 XAI 설명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습니다. 제작된 인터페이스는 프로토타입 테스트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추후 실험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실증적 연구를 위해 활용하고자 합니다.
3. 최인헌, 이상원, 데이터 편향성이 인공지능 모델에 미치는 영향: 데이터 감정 구성 비율에 따른 학습 결과 비교

최인헌 학생의 연구는 감정 데이터의 편향이 발생하였을 때, 모델이 편향 정도에 따라 어떤 결과를 나타내는지 감정분석(Sentiment intensity analysis)을 통해 정량적 분석을 한 연구입니다. 해당 연구는 감정 데이터의 편향이 모델 결과 도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편향 정도와 결과의 감정 분석 사이에 반비례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4. 전계원, 나윤선, 선승종, 조민영, 이상원, 메타버스 산후 우울 케어 서비스 제안: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전계원 학생의 연구는 산모가 가지는 물리적 제약을 줄이고 산후 겪을 수 있는 상황 체험 및 공유를 통해 산후 우울을 완화할 수 있는 메타버스 산후 우울 케어 서비스를 제안하였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통해 향후 산후 우울에 대한 선제적 접근을 위하여 산후 조리원과 기업의 연계를 통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가적으로, 전계원 학생의 포스터 발표가 우수 포스터에 선정되어 수상을 하게 되었습니다. 축하의 말씀 드리며 더 좋은 서비스로 나아갈 수 있길 바랍니다!
1박 2일에 걸쳐서 경기도 안성에서 열린 인간공학회 참석하는 시간 동안 뜻 깊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모두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