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ind touch: 시각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를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젝트 참여

오늘은 저희 ID square 연구실에서 참여하고 있는 시각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권 신장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이라는 주제의 ‘Blind touch’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합니다!

시각장애인은 다른 장애 유형의 집단과 비교해봤을 때, 문화예술 감상에 대한 니즈가 평균보다 높은 것에 비해[1], 실제 시각장애인들의 전시문화 예술 관람 활동의 참여율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 시각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 권리 보장 및 신장에 대한 법적 근거는 마련되어 있지만[3], 시각 위주의 전시문화로 인해 실질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이 감상하고 경험할 수 있는 전시문화 컨텐츠 자체가 부족하여 여전히 시각장애인의 문화예술 활동 참여를 신장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1].

이에, 저희 ID square 연구실은 성균관대학교 휴먼ICT학과, 예술학과, 사회복지학과, 외부 전문가들과 협업을 통해 시각장애인들이 전시예술작품 중 특히 미술작품에 집중하여 시각 이외의 감각을 통해 작품을 감상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시스템들을 개발하고 전시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시각 이외의 감각을 통해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다중감각 명화 전시회 개최]

먼저, 저희 연구실의 박경빈 석사과정 학생은 빈센트 반 고흐의 1888년도 작품인 <생트마리의 어선>을 시각장애인들의 시각 이외의 잔존감각으로서 촉각, 청각, 후각 인터랙션을 통해 해당 작품을 감상하고 경험할 수 있는 다중감각 미술작품을 개발하였습니다. 해당 시스템에는 작품 내 특정 위치를 감상자가  터치할 경우 해당 위치의 요소에 매칭되는 효과음이 재생되는 터치기반 효과음, 오디오 해설, 바닷가의 향과 바람을 느낄 수 있는 등의 촉각, 청각, 후각 인터랙션 기술이 접목되어 있습니다.

[빈센트 반 고흐의 <생트마리의 어선, 1888> 작품을 다중감각을 통해 감상할 수 있도록 제작한 시스템]

이 작품은 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비장애인 모두가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다중감각 명화전에 전시되었습니다. 나아가, 해당 작품에 개발 및 적용한 인터랙션 기술들에 대한 설계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실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습니다. 

[사용자 테스트에 참여한 실제 시각장애인이 다중감각 시스템을 통해 작품을 감상하고 있는 모습]

실제 테스트에 참여한 시각장애인은 인터뷰에서 “눈으로 보는 것을 눈 이외에 방법으로 구성해내는게 쉽지 않잖아요. 그런 점에 최대한 잘 표현해 주신 것 같고, 눈으로 보는 것 같은 느낌을 굉장히 근접하게 받았어요. 굉장히 좋았던 것 같고, 구체적으로 설명을 잘 해줘서 좋았어요.”와 같은  피드백을 받을만큼 성공적으로 연구를 수행해냈습니다.

신재은 석박사 통합과정 학생은 시각장애인이 촉각을 통해 색(Color)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촉각적 색 인지 팔레트’를 개발하여 다중감각 명화전에 전시했으며, 실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습니다. 

[촉각의 변화를 통해 색 인지를 도울 수 있는 3D 프린팅 기반 촉각 색 인지 팔레트 작품 전시]

이 시스템은 시각장애인들이 촉각을 통해 미술작품을 감상할 때 작품 요소의 형태나 질감에 비해 배제되었던 색에 대한 정보를 기존의 점자를 이용한 방식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실제 시각장애인이 색 인지 팔레트를 통해 촉각 변화에 따라 색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는지 테스트중인 모습]

[실제 시각장애인이 색 인지 팔레트를 통해 촉각 변화에 따라 색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는지 테스트중인 모습]

이 전시를 관람한 실제 시각장애인은 인터뷰에서 “그동안 색을 감상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생각조차 하지 못했는데, 촉각변화로 색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인상깊었고…”라고 대답할 만큼 의미있는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참고문헌]

[1] Lee, Y. H., Kim, S. W., Eom, M. S., An, S. M., Cho, J. D. (2019). An art exhibition needs assessment survey of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1), 457-466. DOI: 10.21742/AJMAHS.2019.01.46

[2] Seo, Y. H., Yoon, J. S. (2017). Tactile Sensibility based Communication Art – focusing on the Exhibition, So通for the Visual Impair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15(3), 41-57.

[3] 장애인 차별금지법. (2007),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95377#0000

[특강] Just One Step (or a Few) Forward by NASA 김윤경 박사

지난 11월 15일, 글로벌 IT 전문가와 킹고인의 17번째 만남으로서 NASA에서 근무중인 김윤경 박사님께서

‘Just one Step (or a Few) Forward’라는 주제로 유익한 특강을 진행해주셨습니다.

이번 특강에서는 김윤경 박사님께서 한국에서 자라고 공부하며 해외에서 일하며 살고 있는 경험부터, 

하고 싶은 일을 쫓다보니 실리콘밸리에 와있고 NASA라는 연구기관에서 팀을 꾸려나가게 된

 한 사람으로서 그 일생의 여정을 실감나고 재미있게 풀어가며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으로 채워졌습니다.

특히, 김윤경 박사님께서는 항상 준비된 자세로 기회를 찾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시며

아낌없는 조언과 학생들의 질문에 성심성의껏 답변을 주셨습니다.

어디가서도 듣기 힘든 귀한 이야기를 들려주신 김윤경 박사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

[특강] 사람의 관점에서 바라본 자동화와 스마트화의 차이점 by 한양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신동민 교수

11월 1일, 한양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신동민 교수님의 

“사람의 관점에서 바라본 자동화와 스마트화의 차이점” 주제의 특강이 있었습니다.

이번 특강에서는 인터랙션이나 인터페이스를 설계함에 있어 인간중심적인(human-centered) 깊은 고려없이

설계되었을 때의 실질적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평가는 어떻게 될지에 대해 

실제 우리 주변환경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사례들을 통해 살펴보고 논의해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

이번 특강을 통해 HCI/UX 연구자로서  인간중심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해 재고해볼 수 있었습니다.

[특강] AI and Ethics in Smart Cities: New frontiers in media education by Prof. Sun Sun Lim

지난 11월 7일, 싱가폴기술디자인대학(SUTD) Sun Sun Lim 교수님께서 성균관대학교를 찾아주셔서 

‘AI and Ethics in Smart Cities: New frontiers in media education’라는 주제의 유익한 특강을 해주셨습니다.

이번 특강에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의 활용 및 확산을 윤리적, 정책적 관점에서 재조명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특히, 싱가폴이나 여러 세계적 도시들에서 활발하게 추진중인 스마트시티화와  급속도로 몸집을 키워나가는 미디어 콘텐츠 시장에 아동들이 노출된 상황에서 토의해볼 수 있는 여러 이슈들에 대해 재고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열띈 강의뿐만 아니라 강연 후 학생들의 다양한 질문에도 친절하게 답변해주신

 Sun Sun Lim 교수님께 다시 한 번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특강] Motivation for Big Data in Radiology by UCSF Medical Center 손재현 박사

11월 1일, 열여섯번째 글로벌 IT 전문가와 킹고인의 만남의 특강이 있었습니다.

이번 특강은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UCSF) Medical Center의 손재현 박사님께서 

“Motivation for Big Data in Radiology”라는 주제의 강의로 유익한 시간을 채워졌는데요:)

특히, 이번 강의에서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술이 메디컬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다양한 사례들을(예를 들어, MRI 이미지 분석을 통한 치매 조기진단, 암 진단) 소개해주시며 컴퓨터 사이언스와 메디컬 분야의 융복합적 연구가 가져다 줄 수 있는 시너지 효과에 대해 느껴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2019 SKCC 중간결과 발표 행사

10월 11일, SK CC (SK Creative Challenge) 2019 중간 발표 행사가 성균관대학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SK CC 2019는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KAIST가 인공지능(AI)을 주제로 진행하는 연계수업 프로젝트인데요.

이번 행사에서는 9월에 있었던 킥오프 워크샵을 이후로,

각 학교 내에 있는 팀 별로 ‘일상의 pain point를 해결해줄 수 있는 AI 서비스 제안’이라는 주제로 

그간 연구한 결과물을 발표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총 16개의 팀이 발표를 진행했으며,

정말 다양한 도메인에서, 다양한 기술 활용 및 다양한 타겟 유저들을 고려한

흥미롭고도 신선한 아이디어들을 많이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각 학교 별로 참여하고 계시는 교수님들 한 분, 한 분을 모두 만나 뵈어,

발표한 내용에 대한 코멘트를 받고, 질의응답 시간을 갖으며

프로젝트 내 보완사항과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열의를 다해 지도해주신 모든 교수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그럼, 12월에 있을 최종 결과 발표까지 열심히 연구에 매진해야겠습니다 😀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참여 및 건축문화발전 유공자 표창장 수상

저희 연구실의 이도화 박사과정 학생이 참여한 프로젝트 소개 및 수상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

1) 2019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꿈 빛 놀이터”

지난, 10월 11일 부산 진구 서면 놀이마루 운동장에 “꿈 빛 놀이터” 개장식을 열었습니다.

부산 건축제조직위원회 전시운영위원이자 저희 연구실의 이도화 박사과정 학생이 

이 “꿈 빛 놀이터” 프로젝트의 기획 및 디자인을 맡아 진행하였는데요.

“꿈 빛 놀이터” 프로젝트는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사업비 3억원을 후원했으며, 

부산시교육청에서 장소제공, 시설 인수 및 관리를 맡아 진행하고,  

부산 건축제위원회의 사업기획으로 세 기관이 협약식을 맺어 진행되었습니다.

꿈 빛 놀이터는 꿈과 상상이 빛을 밝히는 일상 속 소소한 즐거움의 장으로 의미를 담고, 

시민 누구나 함께 하는 세대간의 소통과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습니다. 

LED 풍선이 매달린 ‘꿈 빛 나무’와 터치 키오스크에 의한 미디어 인터랙션 체험공간인

 ‘꿈 빛 큐브’ 작품이 설치되어 주간에는 지연과 어우러진 쉼터로, 야간에는 체험형 문화놀이터로 연출이 됩니다. 

  • 참고영상 및 기사

– “첨단 공유의 ‘꿈빛 놀이터’ 문 열다”, https://www.youtube.com/watch?v=q6ZlhIk-3Po

– “부산시교육청, ‘꿈빛 놀이터’ 개장”, http://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5361

2) 2018 부산시장표창장 수여: 2018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_”아낌없이 주는 이야기 나무”_부산 송상현 광장

사진

(이도화 박사과정 학생, 건축문화발전 유공자 표창장 수상)

사진

(사진출처 및 저작권: 최규복 작가)

마지막사진

(사진출처: MBC 드라마 ‘웹컴2라이프’ 14회 방송 캡쳐본)

이도화 박사과정 학생이 “2018 건축문화발전 유공자 시상식”에서 2018 부산건축제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아낌없이 주는 이야기 놀이터”를 통한 건축문화발전 유공자로서 부산광역시장 유공자 표창장을 수상하였습니다.

수상을 다시 한번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앞으로도 멋진 활약 기대하겠습니다 😀

  • 참고영상 및 기사

– “허허벌판 송상현광장에 문화형 놀이터 운영”,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80916.99099006752

– “도심 속 휴식과 즐거움을 선사하는 ‘아낌없이 주는 이야기 놀이터’, http://www.sobilife.com/news/articleView.html?idxno=18899

[특강] 데이터 분석의 case study를 통한 Lesson learned by 한기용 Consultant

10월 11일, ‘글로벌 IT 전문가와 킹고인의 열다섯번째 만남’ 특강이 있었습니다.

이번 특강은  Udemy, Polyvore 등 많은 대기업 및 스타트업에서 데이터 분석 컨설팅을 하시는 

컨설턴트 한기용님을 모시고 ‘데이터 분석의 case study를 통한 Lesson learned’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기업들을 컨설팅한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 기업에서 데이터 분석팀은 어떻게 구성되고, 

각 구성원들은 어떤 일을 실제로 하고 있는지 생생한 데이터 분석 필드 이야기를 들려주셨는데요. 

실제로 직접 컨설하셨던 기업들의 케이스를 하나하나 소개해주시면서, 

각 케이스마다 어떤 어려움이 있었고, 그러한 어려움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어떻게 해결해 나갔는지 들려주셨습니다.  

이번 특강을 통해 실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데이터 엔지니어 등이 

필드에서 어떤 일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해볼 수 있었습니다 🙂 

귀한 시간 내주시어 좋은 이야기 들려주신 한기용 컨설턴트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특강] Building the Human Brain: The State of the Art of Neural Simulators by Prof. Chang Soo Nam

9월 27일,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의 남창수 교수님께서

Building the Human Brain: The State of the Art of Neural Simulators 주제로 특강을 해주셨습니다.

이번 강연을 통해 사람의 뇌가 자극이 들어왔을 때 어떻게 반응하는지 배워볼 수 있었고, 

나아가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HCI/UX 연구에 어떻게 적용해볼 수 있을지 재고해보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